[선형대수] 가우스 소거법

가우스 소거법

들어가며

임의의 원소에 대해 연산을 해도 원래 값이 바뀌지 않게 하는 원소를 그 연산에 대한 항등 원이라 한댜 실수에서 덧셈에 대한 항등원은 0,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1이다.

\[a + 0 = a \ (\text{덧셈에 대한 항등원 0)}\\ a \times 1 = a \ \text{(곱셈에 대한 항등원 1)}\]

어떤 원소 a에 대해 연산을 하여 항등원을 만드는 원소를 그 연산에 대한 역원 이라고 한다.

\[a \times (\frac{1}{a}) = 1 \ \text{(곱셈에 대한 a의 역원} \frac{1}{a})\]

가우스 소거법

Gauss elimination은 임의의 m x n 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다.

다음 두 단계로 진행 된다.

  1. Forward elimination(전방 소거법): 주어진 선형 시스템을 아래로 갈수록 더 단순한 형태의 선형 방정식을 가지도록 변현한다.
  2. Back-subtistution(후방 대입법): 아래에서 위로 미지수를 실제값으로 대체한다.

1. Forward Elimination(전방 소거법)

forward elminiation은 주어진 선형 시스템을 아래로 갈 수록 더 단순한 형태의 선형 방정식을 가지로도록 변형하는 절차이다. 즉, 행 사다리꼴(row echelon form)을 만들도록 변형 하는 것이다.

다음 행렬은 행 사다리꼴(row echelon form) 행렬이다.

\[\begin{bmatrix} 1 &4 &5\\ 0 &1 &3\\ 0 &0 &1 \end{bmatrix}\; \begin{bmatrix} x_1\\ x_2\\ x_3 \end{bmatrix} \; = \begin{bmatrix} *\\ *\\ * \end{bmatrix} \;\]

가장 마지막 행의 값을 구하면 $x_3 = *$ 라는 식을 구하게 되고 아주 간단하게 미지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한 $x_3$를 갖고 두 번째 선형 방정식 $x_2 + 3x_3$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밑에서 부터 위로 식을 구하게 되고, 전방(왼쪽)에 최대한 많은 0을 배치하는 것을 전방 소거법이라고 한다.

Foward(전방)

위 같은 방향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


예제1

\[\begin{matrix} 2x_1 + &2x_2 + &4x_3 &= 18\\ x_1 + &3x_2 + &2x_3 &= 13 \\ 3x_1 +& x_2 + &3x_3& = 14\\ \end{matrix}\]

풀이

우선 연립선형방정식을 첨가 행렬(augmented matrix)로 표현 한다.

\[\left[ \begin{array}{ccc|c} 2& 2 &4 & 18\\ 1 & 3 &2 & 13 \\ 3& 1 &3& 14\\ \end{array} \right]\]

image-20210427172834502

위 전방 소거법을 통해 얻어진 기약행 사다리꼴 행렬로 부터 해가 $x_1 = 1, x_2 =2, x_3 =3$ 임을 알 수 있다.


예제2

불능(inconsistent)인 경우의 문제를 한번 풀어 보자

\[\begin{matrix} &4x_2 + &x_3 &= 2\\ 2x_1 + &6x_2 - &2x_3 &= 3 \\ 4x_1 +& 8x_2 - &5x_3& = 4\\ \end{matrix}\]

먼저 위 연립선형방정식을 첨가 행렬로 표현 한다.

\[\left[ \begin{array}{ccc|c} 0& 4 &1 & 2\\ 2 & 6 &-2 & 3 \\ 4& 8 &-5& 4\\ \end{array} \right]\]

다음과 같이 forward elmination을 적용하여 row echelon form을 얻는다.

image-20210427174402576

image-20210427174413639

3행(row)의 성분은 모두 0이기 때문에, 미지수 $x_3$의 값은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다. $x_3$에 어 떤 값 $t$를 대입해도 연립선형방정식의 해가 존재한다. 따라서 첫 번째 행과 두 번째 행 에서 얻은 방정식에 $x_3 = t$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해를 표현할 수 있다.

\[x_1 = \frac{7}{4}t, \ x_2 = -\frac{1}{4}t + \frac{1}{2},\ x_3 = t\]

$x_3$와 같이 자유변수 $t$를 갖는 연립선형방정식의 해는 무수히 많다. 이러한 연립선형방정식을 부정(inconsistent)이라고 한다.

Back-subsitution (후방대입법)

위의 예제2 에서 얻은 $x_1, x_2 , x_3$ 미지수들을 퉁해 실제값을 대체하여 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할 수 있다. 1행의 식을 쓰면, $x_1 + -\frac{7}{4}x_3 = 0$ 이고. $x_3$의 값을 알아야 $x_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행의 경우도, $x_2 +\frac{1}{2}x_3 = \frac{1}{2}$ 임으로 $x_3$의 값을 알아 $x_2$의 값을 구할 수 있었다. 이렇게 3행에 존재하는 $x_3$를 구해 밑에서 부터 위 행의 값들을 구해나가는 과정후방 대입법이라고 한다.


소거법에 쓰이는 Elementary Row Operations(EROs, 기본행연산)

다음 소거법에 활용된 세가지 기본행연산(Elementary Row Operations, 기본행연산)이다.


Foward Elmination(전방소거법)의 가치

Upper triangluar from(상삼각형태)

전방 소거법은 EROs(기본행연산)을 활용하여 주어진 선형시스템 $Ax=b$에서 행렬 $A$를 upper triangluar form으로 만드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미지수를 계산하기 가장 쉬운 형태로 만들어 준다.